박셀바이오 - 주가 전망
오늘 정리해볼 종목은 바로 박셀바이오입니다.
종목분석은 크게 기업의 재무제표 및 미래 성장가치 등,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분석하는 기본적 분석과 차트 및 추세 등과 같은 각종 지표 등을 활용한 기술적 분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에서 승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분석은 물론이고 기본적 분석까지 함께 살펴야합니다.
그래서 해당 종목과 관련된 가치분석 지표 및 투자자별 수급현황, 차트 상태, 테마주 편입 여부 등을 정리해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향후 주가에 대해 예측하는데 참고 부탁드립니다.
박셀바이오 - 회사 설명
박셀바이오는 항암면역치료제를 연구ㆍ개발하는 바이오텍 회사로 면역시스템에서 최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구성 요소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Vax-NK 항암면역치료 플랫폼, Vax-DC 항암면역치료 플랫폼, 차세대 첨단 CAR-T 치료제인 Vax-CAR 항암면역치료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물용 항암면역치료제인 박스루킨-15까지, 항암면역 전반을 아우르는 제품군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Vax-NK는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했으며, 1상에서 매우 뛰어난 임상 효과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현재 간세포암 치료 요법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간동맥내 항암주입요법’과 Vax-NK 투여를 병용한 임상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그 결과 높은 객관적 반응률과 중앙생존기간 40개월로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2020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영업손실은 0.4% 증가, 당기순손실은 1301% 증가했습니다.
중단기적인 수익사업으로 반려견용 면역항암제를 개발 및 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로 출시하기 위해 품목 허가 신청 중임. 동사의 '박스루킨-15'은 임상시험 결과 안전함을 확인받고 반려견의 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20년 4월 검역본부와 협의하여 품목허가를 신청하였으며, 현재 품목허가 결과를 대기중입니다.
박셀바이오 - 관련 테마 및 최근 이슈
박셀바이오는 3만원의 공모가로 지난 9월 코스닥에 입성했습니다.
그리고 박셀바이오의 주가는 석달 만에 22만원에 근접했습니다.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100% 무상증자 결정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12월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박셀바이오의 주가는 지난 24일 21만9천900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장중 한때 23만9천800원까지 치솟으며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최고가는 공모가인 3만원과 비교하면 700% 가까이 오른 것으로, 올해 상장한 공모주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자랑합니다.
앞서 박셀바이오는 코스닥 상장 전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당초 박셀바이오는 공모가를 3만~3만5천원으로 희망했지만 수요예측 경쟁률이 94.18대1에 그치며 공모가를 희망범위 하단에서 정했습니다.
상장 첫날인 지난 9월22일에는 공모가보다 10% 낮은 2만7천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21.11% 급락한 2만1천3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후 10월 중순까지 공모가인 3만원을 회복하지 못했으나 한양증권의 분석 리포트를 통해 주력 과제의 임상 결과가 입소문을 타면서 주가가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박셀바이오가 간암치료제로 개발 중인 NK세포치료제 'VAX-NK'의 완전관해(암세포가 완전히 소멸되는 것) 결과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간암 표준치료제인 넥사바(성분명 소라페닙)와 VAX-NK의 효능을 비교한 결과치들이 박셀바이오의 몸값을 견인하는데 주요한 요소가 됐습니다. 소라페닙은 지난 2007년 허가를 받고 13년간 1차 표준치료제로 사용돼 온 간세포암 치료제입니다.
게다가 이달 12월 14일 발표한 무상증자 소식도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박셀바이오는 보통주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습니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내년 1월4일입니다. 신주배정일을 앞두고 박셀바이오의 주가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박셀바이오 - 기업 가치
박셀바이오의 시가총액은 1조 9,364억원입니다.
주가는 기업의 가치를 반영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크게 수익가치, 자산가치, 성장가치 등 3가지 가치로 구성됩니다.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체이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수익가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는 앞으로 계속해서 이익을 얼만큼 낼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지표는 전통적으로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1. 자기자본이익률(ROE)
2. 주당순이익(EPS)과 주가수익비율(PER)
3. 이브이에비타(EV/EBITDA)
4. 주가순자산비율(PBR)
ROE, EPS, PER, EV/EBITDA는 주가를 수익가치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과거 실적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1년 또는 그 후 미래 예상 수익가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성장성 가치로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은 주가를 자산가치로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 네 가지 지표와 매출액과 영업이익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매출액과 영업이익
가장 먼저 살펴볼 것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입니다.
이 회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해봐야합니다.
코스닥 종목의 경우 3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하면 관리종목에 편입되고, 이 상태로 1년이 지나면 상장폐지 사유가 됩니다.
따라서 영업이익은 어느 정도인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인지 파악해줘야 합니다.
박셀바이오는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유의미한 기록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2. 컨센서스
컨센서스 역시 마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박셀바이오 - 차트 상황
1. 일봉
박셀바이오의 차트는 지속적으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박셀바이오 - 투자자별 수급현황
최근 3개월, 1년동안의 추가추이와 외국인의 수급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의 수급은 주가가 탄력적으로 시세가 나올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마무리
기업의 주가의 현 위치와 시장 상황을 판단해서 앞으로 주가가 더 상승할 지, 하락할 지 판단해보는 연습을 항상 해야할 것 같습니다. 성공적인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박셀바이오는 현재 무상증자에 대한 기대감으로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무상증자 권리락일 이후 주가가 일정 수준 조정받을 수 있으니, 매매 시나리오를 잘 짜서 접근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
'주식 투자 > 종목 기초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양약품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1.03.06 |
---|---|
와이아이케이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1.02.07 |
슈프리마에이치큐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0.12.23 |
슈프리마아이디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0.12.23 |
무학 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0.12.22 |
최근댓글